명예훼손, 모욕, 통매음
[명예훼손 불송치] 네이버 카페 고소인 실명, 직장 언급 명예훼손
-
혐의
명예훼손
-
처분결과
불송치(혐의없음)
고소인에 사과를 받고 싶었을 뿐 명예훼손을 할 목적은 없었습니다..
명예훼손 경찰조사 도와주세요..
온라인 내에서 타인에 대한 사실 혹은 허위의 사실을 공연히 적시하였다면 형법 제307조에 명예훼손 혐의 적용으로 처벌 대상이 됩니다.
사실을 적시하였다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혹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의 처벌을 받게 되며
허위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했다면 5년 이하의 징역형,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일반적으로 명예훼손 사건이라 하면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등의 유명인 관련 사건을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이외에 가까운 지인 사이에서도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고소를 당했다면 조속히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동호회 카페에 고소인의 실명과 직장을 언급하며
공개 저격을 한 의뢰인
의뢰인은 동호회에서 알고 지내던 고소인에 명예훼손 고소를 당해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했습니다.
변호인은 본격적인 사건 진행에 앞서 사건에 이르게 된 경위와 명예훼손성 발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사건 당시 고소인은 타인에 의뢰인과 관련된 허위사실을 발설하며 다툼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의뢰인은 고소인으로부터 사과와 해명을 받길 희망하였지만
고소인이 의뢰인을 차단해 놓은 상황이었던 것으로 연락이 닿지 않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 의뢰인은 네이버 동호회 카페에 고소인의 실명과 직업을 언급하며 자신에 피해를 준 사실을 기재하였습니다.
의뢰인이 작성한 글을 확인한 고소인은 명예훼손 고소에 이르게 되었고,
의뢰인은 수사기관의 연락을 받은 이후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하게 된 것입니다.
경찰조사 진행을 앞둔 시점 변호인은 의뢰인이 기재한 글의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명예훼손 사건을 진행함에 있어 공연성, 명예훼손, 특정성의 성립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의뢰인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확인할 수 있는 동호회 카페에 고소인의 실명, 직업을 언급하여 공연성과 특정성에 해당하지만
고소인의 명예를 훼손할 정도의 발언이라 인정되기 애매한 상황이었습니다.
더욱이 의뢰인은 고소인으로부터 사과와 해명을 받고 싶었을 뿐 비방할 목적이 없었던 것으로
경찰조사를 진행하며 이 부분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였습니다.
변호인은 경찰조사 진행을 앞두고 앞서 파악한 내용을 기반으로 예상되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하여 안내하였고,
조사 당일 의뢰인과 동행하여 준비한 내용을 원만히 이어갈 수 있도록 조력을 드렸습니다.
더하여 담당 수사관과의 면담을 통해 사건 발생 전 고소인이 의뢰인에 대해 허위사실을 발설한 점
그리고 의뢰인은 사과를 받고자 했을 뿐 고소인을 비방할 목적은 없었음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습니다.
조사를 마친 이후 변호인은 의견서 작성을 통해 의뢰인의 명예훼손 혐의에 대한 무혐의를 주장하였고
그 결과 불송치 결정 (혐의없음)으로 경찰단계에서 조속히 마무리 지을 수 있었습니다.
명예훼손 혐의는 단순히 온라인 상에서 비방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공연성, 특정성, 명예훼손여부 등의 성립요건을 면밀히 살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뢰인 사건과 같이 비방의 목적이 아니고, 심한 비방의 내용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예훼손 고소를 당한 상황이라면
조속히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하시어 해결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