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
[절도죄 기소유예] 핸드폰 절도 경찰조사 적극 조력
-
혐의
절도죄
-
처분결과
기소유예
“휴대전화 2개 절도..
절도의 고의 없었습니다..
피해자에 피해를 입힌 점 반성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변호사님.”
형법 제329조에 의하면 타인의 재물을 절취하였을 경우 6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한다 규정되어 있습니다.
타인의 물건을 훔쳐 영구적으로 자신이 소유하려 하거나 금전적 이익을 취하는 등 불법적인 행위를 한 경우 성립하는 범죄로 알려져 있지만
가져가기만 해도 미필적 고의가 인정될 수 있기에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됩니다.
절도죄로 고소를 당한 상황 속 자신의 소유물 혹은 공동 소유물이 아닌 타인의 재물을 가져간 것이 맞는지
그리고 점유 침해 및 영득 의사의 여부 등 상세히 살펴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사건에 연루된 이후
조속히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장 내 2개의 휴대전화를 훔쳐
절도죄로 고소당한 의뢰인.
의뢰인은 직장 내에서 타인의 휴대전화 2개를 훔쳐 절도죄로 고소를 당했고 경찰조사를 앞둔 시점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하였습니다.
의뢰인 사건의 경우 2명의 피해자가 존재하는 사건으로 죄질이 나쁘다 판단할 가능성이 높은 사안이며
타인의 물건을 가져가는 행위에 미필적 고의가 인정될 수 있는 절도 혐의인 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경위 등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여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었습니다.
변호인은 의뢰인과 1:1 상담을 진행하여 절도 행위에 이르게 된 경위와 불법영득의사가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 등을 파악하여
조사 준비를 진행하였습니다.
의뢰인은 자신이 다른 직원의 휴대전화를 절도한 점에 있어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상황이었으나
절도의 적극적인 고의와 불법영득의사는 없었음을 밝혀왔습니다.
변호인은 경찰조사 진행을 통해 의뢰인이 피해자들에 피해를 입힌 점에 있어 반성하고 있고 피해품을 모두 반환했으며,
임의 로그인 및 해킹 등에 이르지 않아 어떠한 재산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주장하고자 하였습니다.
조사를 앞둔 시점 의뢰인에 사건 해결에 필요한 양형자료 목록을 안내하였고
상담 내용을 기반으로 경찰조사 진행 시 예상되는 질문과 답변 내용을 정리하여 전달 드렸습니다.
경찰조사에 동석하여 준비한 내용을 원만히 이어갈 수 있도록 조력을 드렸으며
조사를 마친 뒤 담당 수사관과의 면담을 통해 의뢰인이 불법영득의사나 절도의 고의는 없었고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반성하고 있음을 전달하였습니다.
끝으로 양형자료를 첨부한 변호인의견서 작성 및 제출로 사건이 원만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도움을 드렸고
결과적으로 사내 핸드폰 절도 사건에 있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아 마무리 지을 수 있었습니다.
사건 진행 당시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던 의뢰인은 기소유예 처분 결과에 감사의 인사를 표하셨습니다.
타인의 물건을 허락 없이 가져갈 경우 절도죄 고소에 이를 수 있으며
오인에 의한 사건 발생이라면 이 점을 논리적으로 주장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도죄로 연루된 상황 속 경찰조사 및 검찰조사를 앞둔 상황이라면
빠른 시일 내에 변호인의 조력을 요청하시어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